본문 바로가기
정보모음집

스터디 그룹 구성 및 운영 가이드

by biangto 2024. 6. 8.

1. 스터디 그룹 구성

 

 

  • 스터디 분야 선택: 스터디 그룹의 주제나 분야를 선정합니다. 멤버들의 관심사나 목적에 부합하는 주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  • 멤버 모집: 원하는 스터디 그룹 멤버를 모집합니다. 온라인 커뮤니티나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여 멤버를 찾아 모집합니다.
  • 스터디 방식 결정: 스터디 그룹의 활동 방식을 결정합니다. 오프라인 모임인지 온라인 활동인지, 주 단위 모임인지 일 단위 모임인지 등을 결정합니다.
  • 스터디 일정 및 장소 확정: 스터디 그룹의 일정과 활동 장소를 확정합니다. 모든 멤버들이 참석할 수 있는 시간과 장소를 정하고 공유합니다.
  • 그룹원 간 역할 분담: 스터디 그룹 내에서 각 멤버의 역할을 분담합니다. 리더, 서기, 발표자 등의 역할을 정하여 역할을 분배합니다.

 

 

2. 스터디 목적 설정

 

 

  • 스터디 목적 확정: 스터디 그룹이 달성하고자 하는 구체적 목표를 세워야 한다.
  • 목표 성격 파악: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가 학습, 실전 연습, 지식 공유 등 무엇인지 명확히 이해해야 한다.
  • 목적 성격 설정: 스터디 그룹이 지향하는 목적이 학습 목적인지, 실전 훈련 목적인지 구체적으로 설정해야 한다.

 

 

3. 모임 빈도 및 시간 조정

 

 

    모임 빈도 조정: - 한 주에 몇 번씩 진행할지 모임 빈도를 결정합니다. - 회원들의 스케줄에 맞춰 모임 빈도를 조정해야 합니다. - 모임 빈도가 너무 잦거나 드물면 모임에 참여하는 회원들의 만족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. 시간 조정: - 모임 시간회원들 모두가 편하게 참석할 수 있는 시간으로 조정합니다. - 주중이든 주말이든, 아침이든 점심이든 저녁이든, 회원들모임에 참석하기 좋은 시간을 고려합니다. - 회원들끼리 의논하여 모임 시간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
 

4. 역할 분담과 책임 감

 

 

  • 그룹 리더: 스터디 그룹을 총괄하고 전반적인 일정 및 활동을 조정한다.
  • 서브 리더: 그룹 리더를 보조하고 멤버들 간 의사소통 및 조율을 담당한다.
  • 노트 테이커: 스터디 시간에 노트를 작성하고 중요 내용을 정리하여 공유한다.
  • 타임 키퍼: 스터디 시간을 엄수하고 시간 관리를 담당하여 원활한 진행을 돕는다.
  • 참여자: 꾸준히 스터디에 참여하여 주도적으로 활동에 참여하고 토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.

 

 

5. 효율적인 의사소통 방법

 

 

 

 

6. 자료 공유 및 학습 자료 관리

 

 

  • 학습 자료 종류 분류: *학습 자료를 **토픽**, **난이도** 등으로 세분화하여 분류하고 레이블을 붙여서 분류 체계를 구축한다.
  • 공용 드라이브 활용: *구글 드라이브나 **클라우드** 서비스를 활용하여 멤버들이 접근하기 쉽고 편리하게 **자료 공유**를 할 수 있도록 한다.
  • 자료 업로드 규칙 설정: *자료를 업로드하는 방법과 형식, 명칭 통일성 등에 대한 **규칙**을 정하여 **자료 관리**를 체계적으로 한다.
  • 매주 업데이트: *정기적으로 **자료 업데이트**를 진행하여 최신 정보 및 자료를 제공하고 멤버들이 항상 **최신 정보**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.

 

 

7. 그룹 내 갈등 해결 전략

 

 

  • 담당자 지정: 갈등 발생 시 누구에게 어핼할 지 미리 결정해둬야 해. 담담자의 중재 역할은 매우 중요해.
  • 갈등의 본질 파악: 갈등의 원인을 명확하게 파악한 후, 양측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야 돼.
  • 성숙한 대화: 경청과 존중을 기반으로 한 성숙한 대화가 갈등 해결의 핵심이야.
  • 타협과 협상: 양쪽이 소통하고 타협할 수 있는 점을 찾아내고 합의점을 도출하는 과정이 필요해.
  • 해결 방안 도출: 수용 가능한 해결 방안을 찾아내어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해결책을 모색해야 돼.

 

 

8. 활동 평가 및 피드백 처리

 

 

  • 1. 활동 목표 설정: 스터디 그룹의 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해야 해.
  • 2. 참여자 평가: 각 참여자의 참여도와 기여도를 공평하게 평가해야 돼.
  • 3. 피드백 수집: 활동 중 참여자들로부터의 솔직하고 구체적인 피드백을 수집해야 돼.
  • 4. 피드백 분석: 수집된 피드백을 분석하고 개선할 점을 파악해야 해.
  • 5. 개선안 도출: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안을 도출하고 실행할 준비를 해야 해.